전체 글 89

로켓CEO '성공기준?'

-로켓 CEO 책 일부분- 실패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중요하다.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사업의 실패를 솔직히 받아들이고 전진했다. 항상 내 사업에 혹시 취약한 부분은 없는가? 지금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는가? 끝없이 자문해야 진보와 성장이 있다. 과거에 성취한 작은 성공에 안주한다면 거기서 끝나고 만다. 내 방식은 옳다고 맹신하거나 나는 하는 일마다 잘된다고 장담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 기준이 낮다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하는 것일 뿐이다. 그것이야 말로 문제다.

카테고리 없음 2024.08.29

코인원 이벤트 참가시 손해본 사례

손해본 원인 정리. 1. ORDER코인의 경우 거래소 첫 상장이였다. (바이비트, 코인원 등등 한방에 7시 상장) -> 변동성이 큰데, 시장가에 07:00에 바로 긁음 2. 너무 큰 금액을 배팅했다. -> 손익비를 따지지 않고 너무 큰 금액을 배팅해 손해를 봤을때 너무 크게 본 것 같다. * 입금 이벤트 리스크를 항상 생각하고 손익비를 따져 참가하자.

카테고리 없음 2024.08.26

리더십의 역설적 계명

- 존 맥스웰의 위대한 영향력- [리더십의 역설적 계명] 1. 사람은 불합리하고 자기 중심적이다. 그래도 사랑하라. 2. 사람은 잘 디해주면 딴 속셈이 있는지 의심한다. 그래도 사랑하라. 3. 오늘 행한 선은 내일이면 잊혀진다. 그래도 선을 행하라. 4. 정직하고 솔직했다가는 상처를 입기 쉽다. 그래도 정직하고 솔직하라. 5. 큰 생각을 가진 큰 사람은 작은 생각을 가진 작은 사람에 의해 무너질 수 있다. 그래도 크게 생각하라. 6. 사람은 약자 편이지만 강자를 따른다. 그래도 약자를 위해 싸워라. 7. 수년동안 쌓은 것이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다. 그래도 쌓아라. 8. 사람은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정작 도움 주려는 사람을 공격할 수도 있다. 그래도 도와라. 9. 세상에 최상의 것을 주었다가는 곤혹..

카테고리 없음 2024.07.19

가난한 자들의 공통적 특성(FEAT. 세이노의 가르침)

- 세이노의 가르침 - 가난한 자들의 공통적 특성 1. 돈 받는 것 이상으로는 일을 하려 하지 않는다. 2. 아무 일이나 하려고 하지 않는다. 3. 자신이 받았던 돈의 액수 이하로는 일하려고 하지 않는다. 4.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을 믿지 않는다. 5. 운명론을 받아들이고 사주팔자를 신봉한다. 6. 세상을 일방적으로 해석하고 쉽게 흥분한다. 7. 경험자의 이야기보다 자기 판단을 더 믿는다.

카테고리 없음 2024.06.26

정부 부채에 대한 생각(FEAT. 켄피셔)

-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복되는가 '켄피셔' - 경제위기 위기 코로나 금융위기 모기지 등 위기상황에서나 언제든 부채에 대한 두려움의 기사는 항상 있어왔다. 부채의 위험에 대한 기사로 많은 기사를 채울 수 있다. 하지만 부채에 대한 우려가 계속 되지만 세상은 잘 굴러가고, 전체적으로 부유해지며 주가는 불규칙할지언정 상승 추세를 보인다. 세상은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대체러 잘 굴러간다. EX) 2008년의 심각한 신용위기룰 겪고도 몇 년 지나지 않은 지금 기업 이윤과 세계 GDP는 사상 최고수준이다. 나는 투자자들의 뇌가 부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 자주 언급했다. 그리고 그들이 역사를 조금만 골부해고 그렇게 졸도할 지경에 이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켄피셔'

카테고리 없음 2024.06.20

화장실 점검표(FEAT. 전체를 보는 눈을 길러라)

-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을 읽다보면 디테일이 엄청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에 대한 예시로 화장실 청소를 예로 든다. 화장실청소를 할때 그냥 아무저냥 내가 하는 방식대로 할수 있지만,, 고급 건물 화장실의 체크리스트 점검표를 보며 화장실 청소란 이렇게 하는 것임을 깨달을 수 있다. 또한, 그 체크리스트 각각 항목이 부분이라고 가정하면 각 항목을 수행하며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 *결론 : 전체를 제대로 파악하는 눈을 길러라.

카테고리 없음 2024.05.04

부자가 되려면 좁은 문으로 가라

-세이노의 가르침-부자가 되려면 좁은 문으로 가라.지금 직장을 구하는 사람들은 좁운 문의 법칙을 명심해야 한다.인기 있는 멋진 회사들은 경쟁이 치열하다.EX) 대학을 다닐때 아르바이트로 번역을 했는데 신학 전문이었다.그게 번역료가 제일 비쌌고, 경쟁자가 별로 없었으니까.나는 남들이 8비트 컴퓨터만 알고 있을 때 16비트 컴퓨터를 팔아 돈을 좀 벌었었다.--요즘은 이공계 지망생이 적다고 한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지금이 이공계를 지원해야 할 절호의 기회이다.지금 당장을 생각하지 말고 10년 후 20년 후의 경쟁을 생각하라는 말이다.굳이 넓은 문으로 가고 싶다면 남들보다 크게 월등한 기술이 있거나 정말 탁월한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한시라도 빨리 좁은 분으로 가는 것이 더 빨리 부자가 되는 ..

카테고리 없음 2024.04.25